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우스 주가 ( 수소차 대장주 제우스)
    경제 2020. 10. 5. 05:41

    종목명 : 제우스 

     

    1. 반도체 관련주(??) 

     

    일단 제우스 회사 같은 경우는 반도체의 습식 세정 장비 전문업체였습니다 

     

    2009년도 이제 일본 기업을 인수를 하면서 반도체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주력 장비로 쓰이는 습식 세정 장비의 기술력 이제 세계에서 최고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정 장비의 종류가 2가지 있는데요.  싱글 타입과 배치 타입이 있습니다

     

    최근에 제우스 에서 배치 타입의 세정제를 신규로 도입을 하게 되면서 회사의 점유율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이 되는 기업입니다

     

    배치 타입 같은 경우는 이제 기존에는 우리나라 업체들 뿐만 아니라 모든 업체들이 수입을 해서 사용 했었는데요

     

    우리나라 기업 중에 이제 최초로 이제 회사가 생산을 하게 되었고요

     

    배치 타입 같은 경우에는 이제 실리콘 웨이퍼를 이제 20개에서 50매까지 이제 동시에 세정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장비의 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헙황인 반도체 관련 기술의 핵심 기술을 보여 하고 있는 국내에서는 경쟁력 있는 기업  

     

     

    2. 이제는 수소차 대장주(?)

     

     

    제우스 거래처 같은 경우는 삼성전자와 이제 SK하이닉스 라는 우리나라 2대 반도체 업체를 모두 꼽을 수 있겠고요

     

    일단 큰 기업들만 말씀드렸고 그 외에도 다른 기업들과도 주요 거래처로 꼽히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제우스 회사가 수소 경제 와도 엮이는 일이 있었습니다

     

    제우스가 이제 수소를 대량으로 저장하고 이제 운반을 하는 기술이 부각을 되면서 최근에 신고가를 경신 하기도 했는데요

     

    그 이후에 주가의 눌림이 25% 정도 나왔고요

     

    현재는 시장 상황이 안 좋음에도 불구하고 빠지는 폭이 어느 정도 좀 제한이 되는 상황으로 좀 보입니다

     

    그러나 이후 에는 정부 정책인 수소 경제나 아니면 제우스 회사 만 할 수 있는 기술력이 충분히 좋거든요 

     

    향후 실적 모멘텀까지 고려를 해 봤을 때 현재 가격 때부터는 충분히 매수를 해 볼 만한 상황 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3. 제우스 차트 흐름

     

    그래서 차트를 보시면 제우스 같은 경우 기존에는 박스권의 흐름을 보여 주었습니다

     

    5개월 정도 박스권의 흐름을 보여주다가 9월에 급등 했는데요 

     

    9월에 수소 경제와 관련된 부분이 부각이 되면서 해당 시기에 수소차 관련된 종목들이 모두 많이 올랐다가  같이 조정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우스 같은 경우도 상승 후 조정을 받은 상황인데요

     

    현재 박스권 하단이나 중간부에 매수를 하기보다는 이번 주 상황에서 어제 시장 같은 경우도 그렇게 투자심리가 좋지는 않았었습니다 

     

    그러나 시장이 시작하자마자 전체적으로 투자심리가 좀 많이 악화됐다가 회복되었거든요 

     

    제우스 종목 같은 경우는 지금 부터 종목을 공략하면 좋은 시기다 라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 종목은 목표가를 높게 잡겠습니다

     

    약 25% 정도 생각을 하고 목표가는 신고가인 2만원을 제시해 드리고요

     

    손절가 같은 경우는 하단부 이탈을 하는 12,000원 제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종목 제우스 매수 하신다면 현재 가격에서 매수 하시고 상승폭은 높게 2만원 까지 보시고 하방은 이전 박스권이 깨지는 12,000으로 비교적 짧게 대응 하시는걸 추천 드리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